대학입시
  • 고교 선택 마친 중3, 2023 대입 위한 고교생활 전략은?
  • 김수진 기자

  • 입력:2019.12.18 09:41
진학사가 소개하는 ‘현 중3을 위한 2023 대입 포인트’

 

 

 

서울 지역 외고, 자사고의 지원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서울 지역 중3 학생 수 감소와 더불어 지원율 하락의 실질적 요인은 특목고 및 자사고에 재학한다면 대입에서 유리할 수 있는 전형인 논술, 특기자 전형 등이 축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2025년부터 외고, 국제고, 자사고가 일반고로 전환되는 점 또한 해당 고교를 선택하기 어렵게 만든 요인이었을 것.

 

최근 2023학년도까지 서울 소재 16개 대학의 정시 비율을 40% 이상 확대하겠다는 정책이 담긴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이 발표되는 등 대입의 방향이 또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서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고교 선택 외에 또 무엇을 대비해야 할지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가 소개한다.

현재까지 발표된 서울 일부 대학들의 정시모집 인원 변화를 보면, 고려대와 서울대는 정시 모집 비율이 2020학년도 대비 2021학년도에 증가했으나, 다른 대학보다는 낮은 비율인 20% 초반 정도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화여대의 경우 2021학년도 정시모집 비율이 가장 많이 늘었고, 연세대도 적잖이 늘었다. 건국대, 서울시립대, 홍익대 등은 이미 정시모집 비율이 40%에 육박한다. 고려대, 서울대 등 정시 모집 비율이 30%를 밑도는 대학은 2022학년도 이후 정시 모집을 급격히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졸업생들의 정시 재도전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 현 중3 학생들은 소논문 기재 금지, 수상경력 학기 당 1, 자율동아리 연간 1개 기재 등으로 제한을 받고, 현 중2 학생부터는 자율동아리, 수상경력, 독서 활동상황이 대입에 반영되지 않고, 자소서도 폐지되면서 평가 요소가 정규교육과정 중심으로 변경된다.

 

수시모집에서 특기자 모집 감소로 숙명여대, 연세대, 한국외대 등 대학에서 종합전형 모집 비율이 증가한 대학도 있지만, 고려대는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던 인원 중 일부를 교과전형으로 변경해 선발하는 등 종합전형에서 평가 요소 제한이 있어, 향후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022학년도 이후 수시 모집 비율 60%, 정시 모집 40% 선으로 조정되는 과정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모집인원 중 일부가 정시모집으로 이동될 것이고, 학생부종합전형 모집에서 교과전형으로의 인원 조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런 흐름으로 본다면, 주요 교과 중심 내신 관리와 수능 대비 위한 선택 영역을 가능한 빨리 확정해서 학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뀐 흐름 속에서 일반고 선택이 크게 불리할 이유도 없다.

 

[] 2020학년도 vs 2021학년도 서울권 주요 대학 모집 인원 변화

대학

수시(종합전형비율)

정시

2020학년도

2021학년도

2020학년도

2021학년도

건국대

60%(45%)

61%(45%)

40%

39%

경희대

69%(47%)

67%(46%)

31%

33%

고려대

83%(62%)

80%(45%)

17%

20%

동국대

69%(45%)

70%(48%)

31%

30%

서강대

70%(55%)

70%(55%)

30%

30%

서울대

78%(78%)

77%(77%)

22%

23%

서울시립대

63%(43%)

63%(43%)

37%

37%

성균관대

67%(48%)

67%(48%)

33%

33%

숙명여대

67%(33%)

68%(35%)

33%

32%

연세대

67%(32%)

64%(48%)

33%

36%

이화여대

74%(30%)

69%(30%)

26%

31%

중앙대

73%(31%)

72%(31%)

27%

28%

한국외대

68%(30%)

66%(34%)

32%

34%

한양대

69%(38%)

69%(39%)

31%

31%

홍익대

61%(28%)

62%(28%)

39%

38%

*붉은색 : 전년대비 증가/파란색 : 감소

**대학별 전형계획(2019.12.12. 확인) 기준. 정원 내외 포함 및 재외국민 전형 제외


2022
학년도 수능부터 국어, 수학 영역에서도 공통 과목 및 선택 과목이 생기면서 선택 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커질 수 있다. 선택 과목에 따라 조정 점수를 산출하는데, 이는 해당 선택 과목 응시자 간 공통문항 점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 공통문항 평균이 높은 선택 과목에서 고득점 할수록 좋은 점수를 받게 되는 것으로 우수한 수험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느냐가 주요 쟁점이 될 것이다. 

 

, 여기서 고민해봐야 하는 것은 선택 과목 응시인원이 적은 경우 일부 점수가 낮은 수험생들의 영향으로 해당 선택 과목 응시자들의 공통과목 평균이 낮아져 불리한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선택 과목 집단이 우수하면서 응시 인원이 비교적 많은 선택 과목을 응시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탐구 영역에서 사탐, 과탐 계열을 구분하지 않고 최대 2과목 응시로 변경하면서, 성적 확보가 수월한 과목에 응시 인원이 몰리는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응시 인원이 적은 과목을 선택한 경우 한 문제만 틀려도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어, 많은 인원이 응시하지 않는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 오답률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수학 영역 변경 사항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허철 수석연구원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와 연관된 교과목들의 높은 학업력과 더불어 수능 과목의 전략적 선택을 준비해야 한다면서 필수 교과목에 대한 학업역량을 키우는데 힘쓰면서 수능향상성, 응시환경 등을 고려해서 선택 과목을 최적화하는데도 신경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19.12.18 09:41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