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시험
  • 잡코리아, ‘역량테스트(MICT)’ 서비스 출시…”숨은 업무 역량 찾아보세요”
  • 김수진 기자

  • 입력:2022.12.06 10:33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간단한 문답으로 자신의 업무 성향과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내재역량테스트(MICT, My Inner Capacity Test)’ 서비스를 출시했다"6dlf 밝혔다.

 

내재역량은 훈련과 교육을 통해 습득되는 기술과 지식 등 직무역량을 제외한, 자기개념(Self-Concept), 성격적 특성(Traits), 동기(Motive) 등 보이지 않는 역량을 의미한다. 테스트를 통해 성실성, 계획성 등 수치화하기 어려운 내재역량을 구직자가 더욱 상세히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테스트 문항은 총 36개로 업무, 개인, 조직 등 3개 영역, 12개 항목에 대해 평가가 이뤄진다. 업무 수행과 직접 관련된 업무영역은 7개 역량(계획성 꼼꼼함 메타인지 성장지향성 성취지향성 적응성 창의성)에 대해 평가한다. ‘개인영역은 3(성실성 스트레스내성 자존감), ‘조직영역은 2(윤리의식 협동심) 역량을 측정한다.

 

테스트를 마치면 본인의 내재역량 중 점수가 가장 높은 역량을 상징하는 대표 캐릭터가 제시되고, 점수가 높은 4개와 보완이 필요한 2개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역량에 대한 세부 설명에는 스스로의 강점을 강화하고 보완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제시된다.

 

대표 캐릭터는 본인의 내재역량을 한눈에 알아챌 수 있도록 했다. 예를 들어 윤리의식이 뛰어난 경우 걸어다니는 판사봉으로 판사봉을 든 훈장님이, 스트레스 내성이 강하면 프로 마인트컨트롤러로 부처님이 나온다.

 

잡코리아는 앞으로 구인 기업이 채용 시 구직자에게 원하는 주요 내재역량을 설정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기업이 설정한 내재역량과 부합하는 구직자에게 해당 일자리를 추천해 매칭 성공률을 높일 방침이다.

 

내재역량테스트 서비스는 잡코리아 회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잡코리아 앱이나 PC, 모바일 웹사이트에 접속해 서비스 카테고리 중 역량테스트(MICT)’ 버튼을 눌러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하면 된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영어회화 실력 등 업무 역량은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내재역량은 구직자 스스로도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내재역량테스트 서비스를 통해 구직자가 자신의 성향과 역량을 파악해 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2.12.06 10:33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