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일보 DB
고교 진학을 결정할 시기가 다가오면서 어떤 유형의 고교에 진학하는 것이 대학 진학에 유리한지 묻는 질문을 요즘 많이 받습니다. 현재 중3이 대학 입시를 치르는 2024학년도에는 유독 입시의 변화가 큽니다. 수시 전형의 핵심 서류로 활용되는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기재 항목 중 독서활동, 자율동아리활동 등 상당수 내용이 대입에 미반영되고, 수능 위주의 정시도 지금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대학입시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고교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지요. 그래서 이번엔 예상되는 대입 변화와 연계하여 고교 선택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 고교 선택, 학생 수도 살펴봐야 한다니?
“학교에서 학생부 작성은 잘 챙겨주나요?”
“상위권대 진학 실적은 좋나요?”
“학교 분위기는 좋나요?”
지역 고교에 대한 학부모의 질문은 대개 학교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진학 성과에 집중됩니다. 물론 이러한 부분도 고교 선택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본인의 성적이 받쳐주지 않으면 고교가 어떤 진학지도 역량이나 노하우를 가졌든지 이를 100% 흡수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고교 선택 시에는 진학 후 본인의 위치가 어느 정도일지 예상해보고 그에 따른 득실을 잘 따져봐야 합니다.
고교 진학 후 본인의 성적을 정확히 내다보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수준에 들어야 안정적으로 대학 진학을 노려볼 수 있는지 그 가시권은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학년별 학생 수를 통해서 말이죠.
중학교에선 교과 평가방식이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이기 때문에 교과별로 기준 점수 이상을 얻으면, 모두 같은 성적을 받습니다. 하지만 고교에서는 주요 과목의 평가 방식이 상대평가로 바뀌면서 전체 인원을 기준으로 상위 4%, 11%, 23%, 40% 등의 누적 비율에 따라 과목별 등급이 정해집니다(진로선택과목 등 일부 과목에선 A-B-C로 성취도가 나뉘는 성취평가제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다음의 표는 서울 목동 인근의 주요 고교를 대상으로 전교생이 이수하는 공통과목의 등급별 인원을 추정한 표입니다. 총원이 427명인 진명여고는 17등까지, 총원이 194명인 신도림고는 8등까지가 1등급으로 추정됩니다(과목 이수자 수가 더 적은 선택과목의 경우에는 커트라인이 더욱 높아집니다). 전체 학생 수에 따라 등급별 인원과 등수 커트라인이 달라집니다.
[표] 서울 목동 인근 주요 고교 현 2학년 등급별 인원 통계
학교명 | 자료기준연도 | 학교구분 | 설립구분 | 학생수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6등급 | 7등급 | 8등급 | 9등급 |
진명여고 | 20년 5월 | 일반 | 사립 | 427 | 17 | 47 | 98 | 171 | 256 | 329 | 380 | 410 | 427 |
이화여고 | 19년 5월 | 자율사립 | 사립 | 389 | 16 | 43 | 89 | 156 | 233 | 300 | 346 | 373 | 389 |
양정고 | 20년 5월 | 자율사립 | 사립 | 347 | 14 | 38 | 80 | 139 | 208 | 267 | 309 | 333 | 347 |
강서고 | 19년 5월 | 일반 | 사립 | 342 | 14 | 38 | 79 | 137 | 205 | 263 | 304 | 328 | 342 |
양천고 | 20년 5월 | 일반 | 사립 | 310 | 12 | 34 | 71 | 124 | 186 | 239 | 276 | 298 | 310 |
명덕고 | 19년 5월 | 일반과중 | 사립 | 294 | 12 | 32 | 68 | 118 | 176 | 226 | 262 | 282 | 294 |
한가람고 | 20년 5월 | 자율사립 | 사립 | 246 | 10 | 27 | 57 | 98 | 148 | 189 | 219 | 236 | 246 |
명덕외고 | 19년 5월 | 외국어고 | 사립 | 239 | 10 | 26 | 55 | 96 | 143 | 184 | 213 | 229 | 239 |
신도림고 | 20년 5월 | 일반과중 | 공립 | 194 | 8 | 21 | 45 | 78 | 116 | 149 | 173 | 186 | 194 |
세종과고 | 19년 5월 | 과학고 | 공립 | 162 | 6 | 18 | 37 | 65 | 97 | 125 | 144 | 156 | 162 |
이화외고 | 20년 5월 | 외국어고 | 사립 | 132 | 5 | 15 | 30 | 53 | 79 | 102 | 117 | 127 | 132 |
*2019년 5월은 당시 1학년 재학생 기준. (순서 : 인원 많은 순 / 자료 : 학교알리미)
교과 성적 관리 능력은 대입에서 매우 중요한 역량입니다. 학생의 교과 경쟁력이 어느 학교를 가든지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면 큰 상관이 없으나, 교과 경쟁력이 부족하거나 그에 대한 고민이 있는 학생이라면 반드시 희망 학교의 전체 학생 수에 따른 등급별 등수 커트라인까지 산출해서 현재 자신의 수준에서 상위 등급이 가시권에 들어오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생 수 관련 내용은 학교 홈페이지나 학교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 고교에 따라 달라지는 대입 전략, 고려해야
현재까지는 2022학년도(현 고2) 대학입학전형 계획안과 2023학년도(현 고1) 대입전형 기본사항이 발표된 상황으로, 중3이 대학 입시를 치를 학년도의 계획은 아직 나와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앞선 한두 해의 계획을 통해 대략적인 윤곽을 미리 그려볼 순 있지요.
현재 학교별로 선발계획이 구체적으로 공개된 2022학년도를 기준으로, 상위 15개 대학의 입학전형 계획안을 보면 가장 큰 변화는 학교장 추천 전형을 포함한 학생부교과전형의 선발 비율 증가, 논술 및 특기자전형 선발 감소, 정시 선발 규모 확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목‧자사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과 성적 관리에 강점이 있는 일반고 학생들은 학교장 추천 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 위주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교과보다 비교과 활동 및 수능에 경쟁력이 있는 특목‧자사고 학생들은 학생부종합전형이나 논술, 정시 중심으로 지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표는 올해 고3 학생 중 자사고에서 전교 2등인 학생과 일반고에서 전교 2등을 한 학생이 실제 지원한 대입 전형과 학과입니다. 보편적인 지원 패턴이라고는 볼 순 없으나 그럼에도 학교 소속에 따라 지원 패턴에 분명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목‧자사고 학생은 주로 학생부종합전형을 지원하면서 정시까지 염두에 두고 논술전형까지 지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처럼 대입 변화에 따라 고교 유형별 유‧불리와 대응 전략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까지 고려해 고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표] 자사고 3학년 재학생 수시 지원 6개 플랜 (학종 3, 논술 3) | | [표] 일반고 3학년 재학생 올해 수시 지원 6개 플랜 (교과 2, 학종 4) | ||||||||||||
학교유형 | 광역자사고 | 내신 | 1등급대 중반 (전교 2등) | 학교유형 | 일반고 | 내신 | 1등급대 초반 (전교 2등) | |||||||
| | |||||||||||||
순번 | 대학명 | 학과 | 전형구분 | 순번 | 대학명 | 학과 | 전형구분 | |||||||
1 | 서울대 | 전기정보공학부 | 종합 | 1 | 서울대 | 식물생산과학부 | 종합 | |||||||
2 | 연세대 | 컴퓨터과학부 | 2 | 연세대 | 화학과 | |||||||||
3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 3 | 고려대 | 바이오의공학부 | 교과 | |||||||||
4 | 치의예과 | 논술 | 4 | 성균관대 | 공학계열 | 종합 | ||||||||
5 | 가톨릭대 | 의예과 | 5 | 한양대 | 생명과학과 | |||||||||
6 | 울산대 | 의예과 | 6 | 조선대 | 의예과 | 교과 |
앞서 소개해드린 바를 토대로 고교 선택에 관한 점검표를 정리해봤습니다. 이에 따라 본인의 현재 상태를 체크해보면서 교과, 비교과, 수능 등에 대한 대비 역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돌아보고 고교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물론 이밖에 본인의 성향이나 학습 패턴 등 개인적 요인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고교를 선택했다가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적지 않으니까요.
고교 선택 체크포인트 | |
1 | 내신형 스타일인가? 수능형 스타일인가? (수시형, 정시형) |
2 | 교과형 공부만 하는 스타일인가? 비교과 활동에 두루 잘 참여하는 스타일인가? |
3 | 교과 역량이 높고 경쟁에 대한 내공이 있는가? |
4 | 특정 과목 한두 과목만 잘하는 경향이 있는가? |
5 | 수학, 과학, 외국어 과목을 특별히 좋아하는가? |
6 | 고3까지 교과 성적 관리에 집중할 수 있는가? |
7 | 진로과목(탐구, 전공어 추가 과목) 등 많은 학습량을 소화할 능력이 있는가? |
8 | 수행평가를 성실하게 준비하고 진행하는가? |
▶오재성 미래탐구 오목(목동) 대입연구소장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