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책
  • 온라인 개학 첫날, 반응 엇갈려… “사실상 EBS 개학” vs “추가 연기보다 나아”
  • 최유란 기자

  • 입력:2020.04.09 17:18

 


온라인 개학이 실시된 9일 경남 거창군 거창대성고에서 원격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거창군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이 시작된 9일 학생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부족한 준비 시간과 인프라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보단 EBS 콘텐츠를 주로 활용하는 등 원격수업이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온 반면, 더이상 개학을 미루지 않고 온라인으로나마 개학하게 돼 다행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날 온라인 개학은 상급학교 진학을 앞둔 전국 고3, 중3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학생들은 학교에 가는 대신 집에서 컴퓨터나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통해 원격수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온라인 개학이 지난달 말 급작스럽게 결정된 만큼 기기 미비, 인프라 부족, 준비 미흡 등의 이유로 곳곳에서 한계점이 노출됐다. 특히 원격수업 하면 떠오르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보다는 다수 수업이 교사가 만든 수업 자료 또는 EBS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우려를 자아냈다. 한 고3 학생은 “거의 모든 수업이 EBS 강의를 보는 것으로 진행돼 개학한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대입 준비도 개별적으로 해야 하는 건가 싶어 심란하다”고 토로했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하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 학생 간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또 다른 고3 학생은 “우리 학교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하지 않는데, 쌍방향 수업을 하는 학교 학생과 학습 면에서는 물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면에서도 격차가 생길 것 같아 걱정된다”고 전했다.

이날 전국 고3과 중3이 동시다발적으로 온라인에 접속하다 보니 EBS 사이트 접속 오류가 발생하는 등 접속 장애 및 끊김 현상으로 제대로 수업을 듣지 못하는 학생도 속출했다. 중3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아이가 수업을 위해 들어가야 하는 사이트가 먹통이 돼 30분 넘게 로그인만 시도했다”며 “고3과 중3만 온라인 개학을 해도 이런데 다음 주부터 다른 학년도 합류하면 정상적인 학습이 더욱 어려워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원격수업 특성상 집중이 되지 않아 학습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곳곳에서 나왔다.

반면 온라인으로나마 개학해 다행이라는 환영의 목소리도 컸다. 이날 온라인 개학은 당초 3월 2일 예정이었던 개학이 미뤄진 지 38일 만에 이뤄진 것이다. 코로나19로 학교 휴업 기간이 한 달을 훌쩍 넘어선 만큼 온라인을 통해서라도 정규 교육과정을 시작하는 것이 학습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 한 중3 학생은 “온라인이라도 개학을 하니 학습 계획이 좀 더 구체화된 것 같다”며 “비록 전화나 메신저를 통해서였지만 선생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것도 좋았다”고 전했다.

한편 오는 16일(목)에는 고1·2, 중1·2, 초4~6이, 20일(월)에는 초1~3이 차례로 온라인 개학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9일 “대한민국 역사상 첫 온라인 개학에 나선 교사와 학생들을 응원하고 격려해 달라”며 “처음 가는 길인 만큼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신속하게 과감하게 해결해나가면 이 경험이 우리 교육에 큰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듀동아 최유란 기자 cyr@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0.04.09 17:18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