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형별로는 일반전형 경쟁률이 10개교 총 752명 모집에 3,245명이 지원해 4.32대 1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준의 4.43대 1보다 소폭 하락한 것. 반면 사회통합전형은 10개교 총 188명 모집에 309명이 지원해 1.64대 1로 전년도 1.54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 과학고, 재지정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인기? 막상 경쟁률은…
학교별로는 경기북과학고의 평균 경쟁률이 8.80대 1로 가장 높았다. 전년도 경쟁률 8.53대 1보다도 소폭 상승한 것이며, 전형별로는 일반전형이 10.38대 1(전년도 9.95대 1), 사회통합전형 2.50대 1(전년도 2.85대 1)을 기록했다.
10개교 가운데 △세종과학고(3.34대 1) △부산과학고(2.44대 1) △부산일과학고(2.77대 1) △대구일과학고(3.01대 1) △경북과학고(2.48대 1) △경산과학고(2.02대 1) 등 6개교는 전년 대비 경쟁률이 하락하였고, △한성과학고(4.34대 1), 경기북과학고(8.80대 1), 인천과학고(3.20대 1), 인천진산과학고(3.68대 1) 등 4개교는 전년 대비 경쟁률이 상승하였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올해 과학고 평균 경쟁률이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한 것은 중3 학생 수가 전년 대비 3.6% 감소한 탓”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부터 자사고가 후기고로 이동하면서 유일하게 전기고로서 한 발 앞서 학생을 선발하는 과학고의 인기가 높아졌으나, 그보다 전체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영향이 더 컸다는 분석이다.
2018년 4월 기준 중3 학생 수는 46만7187명이나, 올해 중3 학생 수는 45만여명으로 추정돼 지난해 대비 1만 6천여명이 감소했다.
○ 학교별 경쟁률 살펴보니… 면담, 면접 대비 전략은?
주요 학교의 모집 경쟁률을 상세히 살펴보면, 서울 지역 한성과학고의 정원 내 경쟁률이 4.34대 1로 전년도 4.25대 1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이 112명 정원에 562명이 지원하여 5.02대 1(전년도 5.09대 1), 사회통합전형은 28명 정원에 45명이 지원하여 1.61대 1(전년도 0.8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 지역의 또 다른 과학고인 세종과학고는 정원 내 경쟁률이 3.34대 1로 전년도 3.80대 1보다 하락하였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이 128명 정원에 501명이 지원하여 3.91대 1(전년도 4.49대 1), 사회통합전형은 32명 정원에 34명이 지원하여 1.06대 1(전년도 1.0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경기북과학고는 정원 내 경쟁률이 8.80대 1로 전년도 8.53대 1보다 상승하였고, 전형별로는 일반전형이 80명 정원에 830명이 지원하여 10.38대 1(전년도 9.95대 1), 사회통합전형은 20명 정원에 50명이 지원하여 2.50대 1(전년도 2.8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 지역의 한성과학고, 세종과학고는 각각 1단계가 서류 평가 및 출석 면담으로 모집정원의 1.5배수 내외를 선발하고, 2단계는 소집 면접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과학. 수학의 기본 개념, 창의성, 인성, 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면접을 실시한다. 1단계 전형 후 소집면접 대상자 발표는 11월 15일(금)에 있고, 소집 면접일은 모두 11월 30일(토)이며, 최종 합격자 발표는 12월 4일(수)이다.
경기 지역의 경기북과학고는 1단계가 서류 평가를 통해 개별면담 대상자를 선정하고, 2단계는 개별 면담을 통해 제출된 서류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모집정원의 2배수 내외로 소집 면접 대상자를 선정하며 3단계는 소집면접을 통해 창의적 자기주도학습역량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하는데, 소집면접 대상자를 학교로 소집하여 면접 및 토론을 실시한다. 서류 평가 및 개별 면담과 소집면접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1단계 전형 후 개별면담 대상자 발표는 9월 20일(금) 오후 5시, 2단계 개별 면담 후 소집면접 대상자 발표는 11월 11일(월) 오후 5시에 있고, 소집 면접일은 11월 16일(토)이며, 최종 합격자 발표는 11월 22일(금)이다.
오 평가이사는 “출석 면담은 제출 서류의 진정성을 확인·검증하고 다양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으므로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내용을 숙지하여 대비해야 한다”면서 이어 “면접은 1∼2단계 합격자를 대상으로 과학, 수학에 대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소집 면접으로 진행되는데, 전년도 기출 문항과 예상 문항을 통해 실전 연습을 많이 해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